(조선일보)美하원 외교위원장 “한국, 美·中 양다리하면 모욕으로 여길 것”
관리자
view : 14
美·中 사이 ‘균형 외교’ 시도에 강한 어조로 경고
“韓, 대중 균형 넘어서는 것 원하지 않아” 불만 표출
공화당 소속 브라이언 매스트 미국 하원 외교위원장은 24일 “미국은 세계 어떤 나라도 제공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 파트너로 인정받아야 하고, 이용당하지 않아야 한다”며 “(한국의) 일부 사람들은 미국과 중국이라는 두 배를 모두 떠받치려 하고, 우리가 더 큰 강조와 초점을 두고 있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에 대한 균형·견제 역할을 넘어서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양쪽 모두를 만족시키려 하면 결국 모두가 피해를 입을 것이고, 미국은 이를 모욕(slight)으로 여길 것”이라 했는데 미·중 패권 경쟁 속 우방국인 한국이 대중(對中) 견제에 있어서 분명한 입장을 취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해석됐다.
매스트는 이날 워싱턴 DC에서 골드국제전략연구소(GIA·회장 마이클 플린 전 국가안보보좌관)가 주최한 콘퍼런스에 참석해 화상으로 연설을 하며 이같이 밝혔다. 매스트의 이런 발언은 ‘한미 동맹의 미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신경수 한미동맹재단 사무총장(예비역 육군 소장)의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매스트는 “귀국(한국)은 중국과 더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중국에 대한 노출도가 우리보다 높아 그 점은 선택할 수 없다”면서도 “양쪽 모두를 만족시키려 하지 말라. 우리가 원하는 세계에 대한 확고한 헌신 대신 모두가 피해를 입게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매스트는 “(한국의) 일부 사람들은 우리가 더 큰 강조와 초점을 두고 있는 중국에 대한 균형·견제 역할을 넘어서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이는 미국의 대중 견제 노선에서 가장 ‘약한 고리’인 한국에 대한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매스트는 그러면서 일화를 꺼내 “4~6명의 사람이 머리 위로 매우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리는 데 때론 다른 사람들보다 키가 큰 팀원 중 일부가 더 많은 무게를 지탱하고, 일부는 체구가 작아서 자연스럽게 덜 지탱한다”며 “그들은 단순히 손을 들어 올려 무거운 것을 지탱하는 척하며 신음 소리를 내지만, 실제로는 노력을 않는다. 이는 국가 간 상황과 유사한데 우리는 가능한 열심히 노력해 최대한의 무게를 지탱하려는 파트너가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이 배에 한 손, 저 다른 배에 한 손을 올려 두 배를 동시에 지탱하려는 시도는 결코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며 “나는 이 비유를 미국과 동맹의 관계에도 적용한다. 미·중을 동시에 지탱하려면 결국 그 시도는 실패할 것이며 관계 악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매스트는 플로리다주(州)가 지역구인 매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성향 의원 중 한 명으로 외교·안보에 있어서도 ‘미국 우선주의’가 제1의 가치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한 인물이다. 그는 “외교관들은 미국의 자원을 관리하고 관계를 책임지는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특정 국가나 지역으로부터 정말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지 않았다”며 “우리는 미국의 대표자로서 이제 이 질문을 던져야 한다. 미국으로부터 무엇이 필요한지만 물으면 진정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단계에 이르지 못한다”고 했다. 매스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에 방위비 분담을 압박하는 것을 거론하며 “미국이 모든 것을 감당하는 구조로 파트너십이 아닌 의존적인 관계였다”며 “트럼프는 미국이 이용당하지 않도록, 미국의 도움이 당연시되지 않도록 재설정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했다. (김은중 기자)
<원본 뉴스>
美하원 외교위원장 “한국, 美·中 양다리하면 모욕으로 여길 것”